[GIT 구조]
[GIT 용어정리]
1. Repository (저장소)
-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저장하는 장소
- local repository : 개인 PC에 존재하는 저장소.
- remote repository : 원격 저장소. 파일을 원격 저장소 전용 서버에서 관리하고 공유가 가능하다.
2. git clone
- remote repository의 내용을 통째로 다운로드 한다.
- git clone repository addresss
서버에서 파일을 clone하게 되면 내 컴퓨터의 지정된 폴더에 .git이라는 숨겨진 폴더가 생성되고 이 .git폴더를 가지고 있는 폴더가 작업폴더(Working Directory)가 된다. 이 작업폴더는 자동으로 서버와 링크가 맺어지게 된다.
3. git add
- git add는 작업 디렉토리(working directory) 상의 변경 내용을 스테이징 영역(staging area)에 추가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Git 명령어이다.
- git add 명령어는 다음 변경(commit)을 기록할 때까지 변경분을 모아놓기 위해서 사용한다.
따라서, git commit 명령어를 통해 명시적으로 기록을 남기기 전까지는 아무리 git add 명령어를 많이 실행해도 Git 저장소의 변경 이력에는 어떤 영향도 주지 않는다.- git add <파일/디렉토리 경로>
작업 디렉토리의 변경 내용의 일부만 스테이징 영역에 넘기고 싶을 때는 수정한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경로를 인자로 넘긴다.- git add .
작업 디렉토리의 변경 내용의 일부만 스테이징 영역으로 넘기고 싶을때는 .을 인자로 넘긴다.- git add -A
작업 디렉토리 내의 모든 변경 내용을 몽땅 스테이징 영역으로 넘기고 싶을 때는 -A 옵션을 사용한다
4. git status
- git add 명령어를 사용할 때, 항상 함께 사용하는 명력어가 git status 이다.
- git status 명령어는 작업 디렉토리(working directory)와 스테이징 영역(staging area)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서 사용한다.
- Changes to be commited : 이 영역은 스테이징 영역에 넘어가있는 변경 내용을 보여준다.
- Changes not staged for commit : 이 영역은 아직 워킹 디렉토리에 있는 변경내용을 보여준다.
- Untracked files : 이 영역은 아직 워킹 디렉토리에 있는 아직 한 번도 해당 git 저장소가 관리한 적 없는 새로운 파일을 보여준다.
5. git commit
- 스테이징된 파일들을 로컬저장소(Local Repository)로 등록할 때 사용한다.
- 현재 스테이징된 파일들을 그대로 스냅샷으로 찍어서 로컬저장소에보관하며, 이 스냅샷이 하나의 히스토리 기록이 된다.
- 이 기록을 기준으로 과거로 되돌아갈 수도 있고 미래로 갈 수도 있고 다른 브랜치로도 이동할 수 있는 기준점이 된다.
git commit -m"커밋할 내용"
6. git push
- commit한 내용 (head의 변경내용)을 remote repo(원격 저장소)에 올린다.
- 즉 local에서 변경한 내용을 원격 저장소로 업로드한다.
git push <branch name>
7. git merge
- branch의 변경사항을 다른 branch (예를 들어 feature와 develop)의 반영할 때 사용한다.
- 현재 branch를 기준으로 병합된다.
- 만약 두 branch가 같은 파일의 같은 곳을 수정하면 Conflict(충돌)이 발생한다.
git merge <합칠 branch name>
8. git checkout
- branch를 변경한다.
git checkout <branch name>
'공부 >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CentOS7] Jenkins 설치 방법 (0) | 2022.06.07 |
---|